가상 메모리2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번 시간에 '가상 메모리'에 대해 배웠습니다. 가상 메모리를 구현하는 요구 페이징 기법에서는 물리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페이지 교체'를 통해 현재 실행에 필요한 페이지만 물리 메모리에 적재하는 식이였죠. (다들 기억하시죠..?!!) 그러하여 이번 시간에는 프레임 할당, '페이지 교체',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도 정말 중요한 개념을 다루기 때문에 집중해서 잘 따라오시길 간절히 바라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 1. 요구 페이징의 필수 알고리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침 프레임 할당 알고리즘 프로세스 당 할당할 frame의 개수를 결정 프로세스의 작업 집합에 포함될 page들을 수용할만한 개수의 frame을 할당하.. 2023. 8. 15. 가상 메모리 및 스레싱 현상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가상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를 구현하는 '요구 페이징' 기법, '페이지 폴트', '참조의 지역성', '작업 집합', '스레싱 현상'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번 시간에 다루는 개념이 운영체제에서 제일 중요한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하여 오늘 다룰 포스팅의 양도 상당할 예정인데여.. 보시다가 이해 안되는 개념이 있으면 꼭!! 여러번 보시면서 본인의 것으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 그럼 출발~!~! ★ 1. '가상 메모리'의 배경 "현재 실행되고 있는 코드들은 반드시 물리적 메모리에 존재해야 한다” 앞서 다룬 메모리 관리 기법들의 특징 방법 프로세스 전체를 메모리에 적재 가장 손쉬운 방법 Dynamic Loading 물리 메모리의 공간이 충분.. 2023. 8.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