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29

보조 저장장치 관리 (마지막 챕터) 안녕하세요 여러분~ 벌써 운영체제의 마지막 챕터입니다. 시간이 참 빠르네여.. ㅎㅎ 이번 시간에는 '보조 저장장치의 관리'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자세히는 '파일과 보조저장장치' '파일 시스템의 논리 구조', '파일 시스템의 구축', '파일 입출력 연산의 동작 방식',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 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그럼 운영체제의 마지막 챕터. 시작합니다! 1. 파일(File)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의 관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논리적인 단위 저장 형식과 내용은 프로그래머에 의해 결정 컴퓨터 시스템의 관점 정보를 저장하는 최소 단위의 컨테이너 바이트의 나열 OS에 의해 관리/조작됨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의 구조 ※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의 구조 ※ 계층화와 접근 주소.. 2023. 8. 16.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번 시간에 '가상 메모리'에 대해 배웠습니다. 가상 메모리를 구현하는 요구 페이징 기법에서는 물리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페이지 교체'를 통해 현재 실행에 필요한 페이지만 물리 메모리에 적재하는 식이였죠. (다들 기억하시죠..?!!) 그러하여 이번 시간에는 프레임 할당, '페이지 교체',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도 정말 중요한 개념을 다루기 때문에 집중해서 잘 따라오시길 간절히 바라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 1. 요구 페이징의 필수 알고리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침 프레임 할당 알고리즘 프로세스 당 할당할 frame의 개수를 결정 프로세스의 작업 집합에 포함될 page들을 수용할만한 개수의 frame을 할당하.. 2023. 8. 15.
가상 메모리 및 스레싱 현상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가상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를 구현하는 '요구 페이징' 기법, '페이지 폴트', '참조의 지역성', '작업 집합', '스레싱 현상'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번 시간에 다루는 개념이 운영체제에서 제일 중요한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하여 오늘 다룰 포스팅의 양도 상당할 예정인데여.. 보시다가 이해 안되는 개념이 있으면 꼭!! 여러번 보시면서 본인의 것으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 그럼 출발~!~! ★ 1. '가상 메모리'의 배경 "현재 실행되고 있는 코드들은 반드시 물리적 메모리에 존재해야 한다” 앞서 다룬 메모리 관리 기법들의 특징 방법 프로세스 전체를 메모리에 적재 가장 손쉬운 방법 Dynamic Loading 물리 메모리의 공간이 충분.. 2023. 8. 14.
비연속 할당 기법: 페이징과 세그먼테이션 안녕하세여 여러분~ 다들 개념 정리는 잘 하고 계시나여? 앞으로 중요한 개념들이 쏟아져 나오니까 잘 정리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ㅎㅎ 이번 시간에는 비연속 할당 기법인 '페이징'과 '세그먼테이션'과 'TLB', '역 페이지 테이블', '멀티 레벨 페이지 테이블' 에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_★! 1. ★ 페이징(Paging) ★ 한 프로세스의 논리 주소 공간을 동떨어진 공간들에 배정할 수 있도록 지원 연속 할당에서처럼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찾거나 만들 필요 없음 외부 단편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기술 동적 할당의 한 형태 모든 논리 주소는 페이징 하드웨어에 의해 물리 주소로 매핑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채택 2. Frame vs. Page Frame 물리 메모리.. 2023. 8. 14.